며칠전 해외 최고 수준의 내진 건축 강도, 이른바 ‘안전 프리미엄을 슬로건으로 건설된 대단지 아파트가 준공돼 관심이 쏠리고 있을 것이다.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지어진 대단지 아파트 ‘더샵 판교퍼스트파크가 그 주인공이다.
1년여의 공사를 끝나고, 지난 3월 초부터 집들이가 구미 로제비앙 시작됐다. 이 아파트는 설계 단계에서 ‘특등급 내진설계와 ‘첨단 스마트홈 시스템을 적용, 분양 순간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.
‘더샵 판교퍼트스파크 개발업체인 ㈜아시아디벨로퍼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잦은 자연재난과 지진 생성 등으로 건물 안전환경이 예전보다 많이 달라진 점을 감안, ‘건물 내진 강도를 법적 기준보다 파격적으로 상향시킨 ‘특등급 http://www.bbc.co.uk/search?q=구미 대광로제비앙 내진설계 기준을 적용시켰다.
‘특등급 내진설계는 일반 가옥 완파, 교량 파괴, 산사태, 지각 균열 수준 등의 대형 재난에도 견딜 수 있을 것이다. 이 상황은 지난 2016년 3월 발생했던 경주 강진(진도 5.8 규모)보다 지진 에너지 강도가 400배나 강도 높은 지진이 생성해도 견딜 수 있는 수준이고, 원자력발전소 주요 안전계통에 적용하는 내진성능 기준보다도 높게 설계됐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.
정바울 아시아디밸로퍼 회장(시작사)은 “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예측불허의 수많은 자연재해에도 입지역민들이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게 하는데 최대로 큰 비중을 뒀다”고 설명하였다. 그는 또 “내진성능의 획기적 확대로 인하여 건축 시공비가 법적 내진성능을 적용할 경우보다 크게 높아졌지만, 거주 안전을 위해 호쾌히 받아들였다”고 추가로 말했다.
지난 7일부터 집들이가 실시된 ‘더샵 판교퍼트스파크는 지하 6층~지상 23층 12개동에 1223가구(가구당 전용면적 84~129㎡)로 구성된 대단지다. 모든 가구가 남향으로 배치됐고, 내부 평면도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4~5베이(단지 앞쪽에 배치된 방·거실 갯수)에 3면 오픈형으로 설계됐다.
인근에 안산과 남울산CC 골프코스가 있어서 자연친화적인 녹지배경이 양호하다는 평가다. 아울러 단지 주변에 낙생고교, 성남외국어고교, 한국외국인학교 등이 있어서 교육여건도 좋은 편이라 게 현지 중개업계의 이야기이다.
아파트 내부와 단지 구성에 최첨단 IT기술도 적극 도입, 0차사업혁명시대에 준비한 ‘스마트 하우징 컨셉도 적극 반영하였다. 이 중에서 최첨단 ‘음성인식 스마트홈 기술과 각 동에 코어별 엘리베이터를 7대씩 배치해온 것 등이 특이하게 입지역민들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을 것입니다. 이들 첨단 편의시스템이 입주민들의 ‘거주 편의성 체감도을 크게 상승 시키고 있어서다. 이외에도 모든 가구에 이태리 명품 주방가구를 무상 시공해, 주거 품격도 높였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.
개발업체인 아시아디벨로퍼는 더샵 판교퍼스트파크의 단지 내에 지역 최대 덩치의 ‘입주자 커뮤니티시설(7500㎡)를 구성하도록, 지역민들의 정서적 커뮤니케이션 및 편의성·문화생활 촉진 등에 도움이 하도록 배려했었다. 특이하게 이 곳에는 판교 지역 최초로 ‘단지 내 모텔식 프리미엄 사우나와 외부 손님 접대를 위한 ‘게스트하우스 등을 갖춰졌고, 이 외에도 여가·운동·교육 등 활용할 여러 편의시설이 조성돼 입주민들의 주거 만족도를 크게 높였다.
더샵 판교퍼스트파크는 입주 시점을 계기로 집값도 상승 모드를 타고 한다는 게 현지 중개업계의 설명이다. 단지 자체의 강도 높은 차별성과 주변 지역의 개발호재가 맞물리면서 생겨난 현상으로 풀이한다.
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의 요즘 자료의 말에 따르면 지난 5월 전용 84㎡형이 16억7810만원에 거래돼 제보가를 기록하였다. 이것은 분양 당시 평균 분양가인 1억원 대보다 6배를 넘어선 오름세다. 전셋값도 높게 형성됐다. 전용 84㎡형 전세 시세는 5억원 초기에서 최고 12억원선에 나오고 있을 것이다. 분양가를 넘어선 수준이다. 전용 114㎡형과 130㎡형 등 대형 평형은 각각 2억~11억, 15억~19억원선이다. 판교지역의 경우 10년전 신도시가 개발 당시 지어진 아파트 이외에 이렇다할 신규 아구역이 없는 상태에서 등장한 단지여서 이름하여 ‘신축 대단지 프리미엄도 집값이 높게 형성된 한 이유가라고 중개업계는 보고 있을 것이다.